작년 23년도부터 기사를 통해 K-PASS(K-패스) 제도가 도입된다고 뉴스를 꾸준히 접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국토부가 당초 '24년 7월 도입 예정이라고 했었지만 이 제도가 예정보다 2달 빨리 도입될 예정으로 '24년 5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저처럼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고 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은 계속적으로 인상되는 교통비 때문에 매달 교통비 부담 상당하실 텐데요. 교통비 사용 금액을 할인해 주는 K-PASS 제도를 적극 활용하시는 것이 저렴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 K-패스란?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시행하는 대중교통비 할인 정책으로, 매달 대중교통비 사용금액의 일정 비율을(20%~최대 53%)까지 할인해 주는 제도로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의 이용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 혜택을 확대 한 제도입니다.
(알뜰교통카드는 K- 패스 사업으로 폐지될 예정)
● K-패스 할인?
이동거리 비례로 마일리지 형식으로 적립되었던 알뜰교통카드와는 달리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이용금액에 따라 교통비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월 최대 60회까지 적립하여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K-패스 적용지역? K-패스 미참여지역은?
K-패스는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민지철도(신분당선 등) 등 기존의 교통카드로 사용가능한 대중교통수단에 적용하며 전국 189개 지방자체단체에서 사용가능 할 예정입니다.
전국 모든 지역에서 이 제도가 시행되면 이용자 입장에서는 좋겠지만 이 제도의 재원이 국가와 지방자체단체가 1:1로 재원을 나눠서 부담하는 제도여서 일부 인구수가 10만 명 이하 지자체는 이번 K-패스 제도 시행지역에서 제외된다고 합니다. K-패스의 구체적 참여, 미참여 지자체는 아래의 표를 참고하세요!
● K-패스 신청방법?
- 현재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시는 분
별도의 카드 발급 없이 K-패스 회원 전환 절차를 거쳐서 기존의 발급받은 카드로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
(추후 알뜰 교통카드 어플을 통해 회원전환 등 동의 절차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 신규 이용자
'24.05월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korea-pass.kr),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1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티머니,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를 선택해서 이용 가능 할 예정입니다.
서울시에서는 '기후동행카드'를 경기도에서는 '더 경기패스'로 대중교통비 할인 제도가 있지요. 각 할인카드마다 조건사항이 달라서 어떤 카드를 이용하는 게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지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